​​​​

시티즌 
데이터사이언티스트의 
시대입니다

'빅데이터'라는 개념이 국내에 알려지고 인구에 회자되기 시작한지도 어느덧 수년이 흘렀습니다. 미국을 위시한 소프트웨어(SW) 선진국들의 빅데이터 산업이 성장단계에 진입한 사이, 국내 빅데이터 산업은 정체된 채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국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협회의 다양한 활동 등을 통해 빅데이터에 대한 세간의 오해나 정보 부족을 해결해 국내 IT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젊은 후배들에게 데이터 사이언트의 비전을 제시해 도움을 주고 싶습니다.

빅데이터와 4차 산업혁명이 사회적 트렌드가 된지 벌써 10년이 넘었습니다.하지만 안타깝게도 데이터를 통한 과학적 의사결정, 생산성 향상에서 소외되어 있는 조직과 기관들이 아직도 많이 있습니다.
이제는 모든 산업분야에서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Data-based Desicion) 문화를 통한 혁신이 필요할 때입니다.
한국데이터사이언티스트협회는 중앙에 집중된 데이터팀의 역할을 조직전체로 확장하여 전 조직원 각자가 시티즌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로서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을 함양하고 자신의 비즈니스 실무 영역과 산업 도매인에서 직접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활용의 민주화”를 확산하고자 설립하였습니다. 

산업별 조직별로 각각 흩어져있는 역량있는 데이터분석가와 시티즌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들을 발굴, 육성하고, 조직 내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연구, 교육, 컨설팅 활동을 수행하고자 합니다.

한국데이터사이언티스트의 설립을 통해 CDS의 발굴과 육성 그리고 기업과 조직에 역량있는 CDS의 참여을 통해 기업과 조직에 디지털 혁신, 과학적 의사결정과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사명감을 갖고 협회를 운영해 나가겠습니다.


현) 명지대학교 AI빅데이터연계전공 특임교수
현) 비스텔리젼스 Executive Advisor
전) 포스코경영연구원 실장, 베가스 부사장

한국데이터사이언티스트협회장 윤석용 
누구나 쉽게 
데이터 분석을 접할 수 있는 세상


한국데이터사이언티스트협회가 
만들어가겠습니다.
실무에 적합한 
데이터 분석 역량 모델 연구 및 
교육과정 설계
정부 각 기관, 수 많은 기업에서 실무자들과 데이터분석가와 데이터분석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개별 역량 개발과 코딩교육, 일방적 주입식의 온라인 교육에만 집중하고 있는 것이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한국데이터사이언티스트 협회는 각 산업계에 흩어져있는 실력있는 데이터분석가, 시티즌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들의 역량을 모으고, 연구와 학술활동을 통해 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데이터 분석 역량모델,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있습니다
시티즌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교육 프로그램 운영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코딩이 아니라 데이터를 읽고 쓰는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입니다. 수 많은 교육기관에서 데이터 분석 교육을 시행합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대다수의 교육은 코딩으로 시작해서 코딩으로 끝나고 맙니다. 또한 실질적인 업무수행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머신러닝, 딥러닝 알고리즘을 맛보기전에 교육은 끝이 납니다. 
한국데이터사이언티스트협회는 실무자들이 현업에서 필요로하는 데이터분석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들을 운영합니다. 코딩이 주인공이 되는 교육내용이 아니라 비즈니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론을 배우고 No Coding, Low Coding 분석툴을 통해 기업의 실무자들이 쉽게 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도록 역량을 높이는 활동을 전개해나가고 있습니다
기업과 조직내 데이터 기반 
과학적 의사결정 문화 조성
무작정 머신러닝, 딥러닝 알고리즘에 데이터를 쏟아붓는 분석방법은 잘못된 의사결정을 초래합니다. 또한 근거없는 경험과 직관에 의한 의사결정 역시 조직과 기업에 큰 리스크 요인입니다. 빅데이터의 시대에는 데이터가 중요하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지만 더 중요한 것은 그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고 어떤 의사결정에 적용하느냐 입니다.
한국데이터사이언티스트 협회는 비즈니스의 문제를 데이터로 전환하는 “데이터 리터러시” “데이터사고” “데이터기반의 과학적 의사결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문화가 안착되고 확산될 수 있도록 기업대상의 맞춤형 교육과정설계와 기업의 비즈니스 문제에 직접 참여하여 데이터분석 컨설팅을 수행합니다.
CDS양성을 통한 
CDS네트워크 확산
(CDS : Citizen Data Scientist)
각 산업계, 학계에 흩어져 있는 데이터분석가를 발굴하고 양성하여 한국데이터사이언티스트협회 활동에 참여시키고 있습니다. 그들이 가진 역량을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합니다. 이제는 데이터 분석이 더 이상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각 기업과 조직의 실무자들이 충분히 자신의 영역에서 데이터분석을 할 수 있는 데이터기반 과학적 의사결정이 숨쉬는 사회와 산업을 만들고자 합니다. 
CDS로 가입한 회원은 한국데이터사이언티스트협회에서 주관하거나 협업하는 기관의 강사로 활동할 수 있으며  협회의 연구, 세미나, 학술활동을 통해 다양한 산업, 영역에 진출한 CDS들과 활발한 네트워크를 통해 개인의 역량개발과 직업적 전환의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CDS강사양성과정을 통해 비전공자나 문과출신들도 다양한 분야의 시티즌데이터사이언티스트 교육에 강사로서 참여할 수 있습니다.
자율주행, 인공지능, 딥러닝 보다 더 중요한
경영의 난제들 그리고 쌓여가는 데이터들

“일별/주별/월별 제품별/채널별 매출추이는 어떻게 될까?”
“우리 회사의 영업사원들 중 어떤 특성의 영업사원이 가장 높은 매출을 올릴까?“
“우리 회사의 HR 인적구성은 어떻게 되어 있을까? 퇴사율과 근속률, 인건비는 어떻게 유지될까?”
“우리 회사에는 신규거래처 개척이 더 중요할까, 기존 거래처의 유지율이 더 중요할까?"
“우리 고객은 어떤 클레임을 주로 하고 있을까?"
“원가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생산라인중에 어떤 요소를 줄이고 늘여야 할까?"
“우리의 고객들은 어떤 광고를 보고 들어와서 어떤 페이지를 보고 구매를 하고 페이지를 이탈할까?"
“우리의 원재료가 다른 회사보다 비싸게 들어오는 것일까?“
“우리회사의 재고관리를 위한 최적의 발주시점은 언제일까?”

“일별/주별/월별 제품별/채널별 매출추이를는 어떻게 될까?”
“우리 회사의 영업사원들 중 어떤 특성의 영업사원이 가장 높은 매출을 올릴까?“
“우리 회사의 HR 인적구성은 어떻게 되어 있을까? 퇴사율과 근속율, 인건비는 어떻게 유지될까?”
“우리 회사에는 신규거래처 개척이 더 중요할까, 기존 거래처의 유지율이 더 중요할까?"
“우리 고객은 어떤 클레임을 주로 하고 있을까?"
“원가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생산라인중에 어떤 요소를 줄이고 늘여야 할까?"
“우리의 고객들은 어떤 광고를 보고 들어와서 어떤 페이지를 보고 구매를 하고 페이지를 이탈할까?"
“우리의 원재료가 다른 회사보다 비싸게 들어오는 것일까?“
“우리회사의 재고관리를 위한 최적의 발주시점은 언제일까?”


CDSA_CS6_(1).png
Phasellus vulputate dui sit amet ante eleifend 15/C 1945 facilisis
CDSA_CS.png
Phasellus vulputate dui sit amet ante eleifend 15/C 1945 facilisis